뉴스/새로운 소식/카더라 등의 내용을 공유해주세요.
검증된 중요 뉴스는 타임라인 메뉴에 등록됩니다.
뉴스/새로운 소식/카더라 등의 내용을 공유해주세요.
검증된 중요 뉴스는 타임라인 메뉴에 등록됩니다.
조회수 43 추천 2 댓글 0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458118?sid=105
[단독]유출 자료 뭐길래…원자력안전학교 직원 숨진채 발견
입력2025.07.28. 오후 1:31
수정2025.07.28. 오후 4:44
대전에 있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산하 국제원자력안전학교에서 하드디스크가 반출된 것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이 하드디스크에 다수의 자료가 담겨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하드디스크를 반출한 직원은 직장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안전학교 직원 "하드디스크 반출했다 반납"
28일 경찰과 KINS 등에 따르면 KINS측은 지난 6월17일 국제원자력안전학교(안전학교)의 한 사무실에서 손바닥 크기의 컴퓨터 하드디스크가 사라진 것을 발견했다. 이 컴퓨터는 안전학교에서 실시하는 원자력 관련 자격시험 담당 직원의 것이었다. 이에 KINS측은 해당 직원 A씨에게 연락해 하드디스크 소재를 물었고, A씨는 다음날인 18일 오전 하드디스크를 반납했다고 한다.
KINS 관계자는 “전산실에서 점검한 결과 A씨가 사용하던 컴퓨터 하드디스크가 없어진 것을 알고 급히 연락해 회수한 것”이라며 “이 기간에 이 직원이 출장이나 휴가가 많아서 출근하지 않을 때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반납한 지 하루 만에 숨진 채 발견
문제의 하드디스크는 발견되기 일주일 전인 6월 11일 밤에 반출됐다고 한다. KINS관계자는 “해당 컴퓨터를 확인해보니 11일 밤 9시 이후에는 접속(로그인)해 자료를 내려받은 기록이 없었던 점으로 미루어, A씨가 이 무렵 하드디스크를 반출한 것으로 추정했다”고 설명했다. A씨는 하드디스크를 집에 보관하고 있었다고 한다. 결국 최소 1주일 동안은 하드디스크가 사라진 사실을 몰랐던 셈이다.
그런데 A씨는 하드디스크를 반납한 다음 날인 지난 19일 사무실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경찰은 “타살 혐의가 없다”고 했다.
"하드 디스크에 10만건 넘는 자료 담겨"
당초 정보 당국은 하드디스크가 없어지자 안전학교를 방문해 경위 파악에 나섰다. 그러던 중 A씨가 사망하자 경찰에 사건을 넘겼다고 한다. 당초 KINS측은 관할 경찰서인 대전 유성경찰서에 이 사건 수사를 의뢰했다. 이어 유성경찰서는 지난 3일 대전경찰청 산업기술 담당 부서로 넘겼다. 대전경찰청은 A씨 사망 경위와 하드디스크에 어떤 정보가 담겼는지, 이 정보가 외부에 유출됐는지, 유출과정에 문제가 없었는지 등을 수사하고 있다. 대전경찰청 관계자는 “하드디스크 정보가 외부로 제공됐는지 확인 중”이라며 “수사 진행 상황은 공개할 수 없다”고 말했다.
KINS는 하드디스크에는 10만건이 넘는 정보(자료)가 담겼다고 전했다. KINS 전·현직 직원 등은 하드디스크에 안전학교에서 치르는 각종 시험 관련 정보 등이 담긴 게 아니냐는 의심을 하고 있다. 이에 대해 KINS관계자는 “(시험 관련)참고교재, 시험일정과 계획, 시험장 위치 안내도 등이 담겼다”라며 “중요한 기밀 정보는 없다”고 했다. 반면 KINS 안전학교에서 근무했던 한 직원은 “중요한 정보가 없는데 왜 경찰이 오랫동안 수사까지 하는지 모르겠다”라며 의문을 제기했다.
정부출연기관 연구기관인 KINS는 방사선이나 원자력 안전시설 점검, 원자력 안전 연구, 원자력안전관리 인력 양성 등을 하는 기관이다. 한국 전역의 환경방사선 준위를 지속해서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도 갖췄다. 국제원자력안전학교는 KINS가 2004년 설립했다. 북한에 경수로를 지원하는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사업 목적으로 북한의 원자력 규제요원을 교육하기 위해 만들었다고 한다. 이곳에서는 원자력 안전과 관련한 경험과 지식을 국내외에 전수하는 일을 한다. 원자력 관련 각종 자격시험도 치른다. 원자로조종사면허시험, 원자로조종감독자면허시험, 방사성동위원소취급자일반면허시험, 핵연료물질취급자면허시험 등 10여 가지 시험이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519652?sid=100
북 "러시아에 AI 연구진 파견"…조선신보 "평양 약국에 AI 로봇"
입력2025.07.21. 오전 11:24
수정2025.07.21. 오전 11:25
김일성대 AI연구소 실장 "제재로 국제협력 난관…북한판 생성형AI 개발 지향"
https://n.news.naver.com/article/119/0002978039?sid=100
챗GPT에 푹 빠진 북한 'AI 열풍'…지능형 로봇도 교육에 이용
입력2025.07.11. 오전 4:20
대학에 인공지능 학과 신설 추진…챗GPT 연구도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3914
김정은, AI 자폭 무인기 시험 참관…‘피스아이’ 닮은 공중통제기 첫 공개
업데이트 2025.03.27 14:40
https://www.google.com/amp/s/www.pennmike.com/news/articleViewAmp.html%3fidxno=86590
김정은 "자폭무인기·자폭수중무인정에 AI 적극 활용하라"...北, '자폭 무인기' 성능시험 최초 공개
K-2 전차 상정 모의표적 파괴 김정은, "더 많이 생산하라"
2024-08-26
https://www.google.com/amp/www.nkeconomy.com/news/articleViewAmp.html%3fidxno=14639
[단독] 북한 당국, 러시아 학술지 '외국 원자력 기술' 확보 지시
2025-05-16
북한이 러시아 학술 자료를 통해 원자력 기술 정보를 습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NK경제는 대북 소식통을 통해 2021년 북한 대외비 문건인 륭성 사업 자료를 입수했다.
륭성 사업은 해외 주재원, 출장자들에게 북한 당국이 정보를 입수하도록 하는 사업이다. 북한은 륭성 사업을 통해 해외로부터 각 분야별로 필요한 기술과 정보를 확보하고 있다. 북한은 륭성 사업 자료를 보안 자료로 취급하고 있다.
북한 당국은 원자력 발전소 건설에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할 것을 지시했다. 구체적으로는 러시아 잡지 ‘외국 원자력 기술(Атомная техника за рубежом)’의 2018년 내용부터 최근 자료까지 확보해 북한으로 보내라고 요청했다.
이 잡지는 1957년부터 발행되고 있으며 해외 주요 학술지 등의 원자력 과학, 기술 최신 논문, 이슈, 행사 자료 등을 분석해 러시아 과학자들에게 소개하는 잡지로 알려졌다.
북한은 이 학술지를 통해 러시아 원자력 기술은 물론 세계 원자력 연구 동향도 파악하려고 한 것으로 추정된다.
https://www.google.com/amp/s/www.jayupress.com/news/articleViewAmp.html%3fidxno=34273
원전 기술 고도화에 필요했나…北, 韓원전 제어 소프트웨어 해킹 탈취
2024-10-10
경북 경주시에 있는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사진. 지난 6월 한수원 협력업체가 북한의 해킹을 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연합
북한 해커가 우리나라 원전을 관리하는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자료를 탈취해간 것으로 드러났다. 북한 해커가 빼낸 자료는 원전 제어 관련 소프트웨어였다. 북한이 핵개발 기술 발전을 위해 해킹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온다.
SBS에 따르면 지난 6월 한수원 협력업체 A사가 해킹을 당했다. A사는 원전의 계측제어시스템을 만드는 기업이다. 주로 원전 운영·관리 소프트웨어를 만든다고 한다.
네덜란드 IP로 A사 자료관리 시스템의 관리자 계정을 탈취한 뒤 네트워크에 침투한 해커들은 자료를 보관한 서버에서 2번에 걸쳐 72만여 건의 문건을 탈취했다. 이 가운데 한수원 관련 문건이 10만여 건에 달했다.
해킹 이후 한수원과 국가정보원 합동 조사 결과 해커가 빼낸 자료는 A사가 한수원에 납품했던 발전소 제어 프로그램과 원전 감시 시스템 관련 자료였다. 한수원 측은 "유출된 자료가 구형 원전 모델과 관련된 프로그램의 일부분이어서 원전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한수원 측의 말대로 북한 해커가 빼낸 기술은 현재 우리나라 원전 안전에는 위협이 되지 않겠지만 북한의 핵개발 기술 고도화에는 도움이 될 수 있다. 북한은 김정은의 핵무기 대량생산 기조에 따라 핵발전소 기술도 고도화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영변 핵시설만으로는 김정은이 요구하는 핵무기 대량생산이 쉽지 않다.
하지만 러시아나 중국은 다른 건 몰라도 핵발전 기술은 제공하지 않는다. 냉전 시절 소련은 중국에조차 핵 관련 기술을 제공하지 않았다. 중국 또한 북한이나 이란에 핵 기술을 제공하지 않았다. 때문에 북한과 이란은 핵개발 기술을 얻기 위해 다양한 공작을 벌였다. 즉 한수원 협력업체에서 빼낸 기술은 북한 핵시설 기술 업그레이드용으로 쓰일 수 있다는 뜻이다.
한편 북한에 해킹당한 A 사 자료관리 시스템은 B 사에서 제작했는데 현재 대법원, 통일부, 한국전력 등 다른 공공기관도 사용 중이라고 방송은 전했다. B사는 "국내 450여개 고객사의 소프트웨어를 개선하는 등 보안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https://www.dailynk.com/20250121-4/
원자력발전소 건설 연구하던 핵심 연구자들 처형·처벌
"우리 힘으로 하기는 어렵다"는 보고에 '태만', '패배주의' 라며 비판…연구자들 사기 저하 분위기
2025.01.21 2:03 오후
https://www.google.com/amp/s/news.sbs.co.kr/amp/news.amp%3fnews_id=N1007828001
[단독] 북한 추정 해킹 공격…원전 자료 70만 건 유출
입력 2024.10.09 20:50
수정 2024.10.09 22:25
https://www.dailynk.com/%EB%B6%81%ED%95%9C-%EC%9B%90%EC%A0%84-%EA%B1%B4%EC%84%A4-%EA%B8%B0%EC%88%A0%EC%9D%80-%EC%B6%A9%EB%B6%84%EC%9E%90%EA%B8%88-%EB%B0%8F-%ED%95%B5%EC%8B%AC-%EC%84%A4%EB%B9%84-%EB%B0%98/
“북한, 원전 건설 기술은 충분…자금 및 핵심 설비 반입이 걸림돌”
소식통 "영변‧분강 연구단지서 원자력공업 연구 지속해와...중앙당 직접 관리"
"경제난에 원전 개발 시도도 못해...전력난은 갈수록 악화"
2021.07.13 2:50 오후
https://www.google.com/amp/s/www.hankyung.com/amp/2021012957717
국내선 탈원전 하더니…北엔 원전 지어주려 한 정부
입력2021.01.29 09:35
수정2021.01.29 09:35
산업부, 감사 들어오자 '뽀요이스·북원추' 등 폴더 삭제
https://www.google.com/url?q=https://www.jayu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3D14219
“국가기밀 USB 몰래 넘기면 간첩, 대놓고 넘기면 통치행위?”
■ 한변, 13일 ‘문재인의 판문점 USB’ 수사 촉구 성명 “‘국가기밀’인 원전 기술 탐지‧수집하는 것은 형법98조 간첩행위” “서울경찰청, 불송치 결정...이의신청 통해 서울중앙지검 계류중” “USB 사건은 문재인 개인의 비리가 아닌 대한민국 전체의 문제” “서울중앙지검, 철저 수사해 국민들이 투명하게 알 수 있게 해야”
2023-02-14
https://www.google.com/amp/s/www.hankyung.com/amp/2021020137557
확산되는 '北 원전 건설' 의혹…국민의힘 "文, USB 발뺌 말라"
입력2021.02.01 11:13
수정2021.02.01 11:13
https://www.google.com/amp/s/www.yna.co.kr/amp/view/AKR20210131039900504
'문건 논란'에 주목받는 북한 경수로 건설…비핵화 대가로 추진
2021-01-31 16:22
북미 제네바합의 따라 실제 건설했으나 중단…6자회담 9·19성명에도 명시
최근 산업통상자원부 공무원의 문건 삭제 논란을 계기로 과거 비핵화 협상 과정에서 실제 북한 원전 건설이 추진됐던 사례들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31일 외교안보 전문가들의 설명을 종합해보면 만성 전력난에 시달려온 북한에 원자력 발전소 건설은 김일성 주석 생전의 필생 사업이었다.
'자력갱생'을 경제발전 기조로 삼아온 북한으로서는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석유를 대체할 원전 건설이 간절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실제 북한은 1980년대 소련과 원자력 협정을 맺고 실험용 원자로를 들여왔으나 이후 핵확산금지조약(NPT) 가입을 강요받자 1989년 가입 서명을 거부하고 원자로 가동도 중단했다. 이어 그해 말부터 소련의 붕괴가 현실화하면서 소련과의 원전 건설 추진은 아예 수포가 됐다.
그러다가 북한 원전 건설이 비핵화 협상카드로 본격 등장한 건 1994년 10월 제네바합의 때다. 당시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하는 대신 북한에 경수로를 지어주고, 경수로가 완공될 때까지는 중유를 제공키로 했다.
이후 경수로 발전소의 핵심인 원자로를 한국 표준형으로 확정 짓는 데 1년 넘는 치열한 협상 과정을 거쳤고, 1995년 12월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와 북한이 마침내 경수로제공협정에 서명한다.
1997년 8월 함경남도 금호지구(신포)에서 착공식을 시작으로 정지공사와 금호항·여객터미널 공사 등을 차례로 마무리 짓고 2002년 1·2호기의 콘크리트 타설 작업에 착수하는 등 경수로 건설은 순항하는 듯 보였다.
그러나 2002년 10월 제임스 켈리 당시 미국 특사의 방북 당시 북한이 고농축우라늄(HEU) 계획을 시인했다는 미국 측 발표가 나오면서 제2차 북핵 위기가 촉발, 북한 경수로 건설 사업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당시 북한의 핵 개발 의혹은 그렇지 않아도 대북 경수로 제공에 부정적이었던 미국 공화당 정권의 '경수로 건설 철회론'에 힘을 실어주는 계기로 작용했다.
결국 2002년 11월 KEDO는 제네바합의에 따른 미국의 대북 중유공급을 중단하고 경수로 사업도 재검토하기로 결정했고, 북한은 이에 반발해 핵 동결 해제를 선언한 뒤 이듬해인 2003년 1월 NPT 탈퇴를 선언했다.
이후 북한 경수로 사업은 2003년 11월 1년간의 공사중단이 선언됐고, 2004년 11월 공사중단 조치가 재차 1년간 연장됐다가 결국 2006년 6월 공식 종료됐다.
이 같은 우여곡절에도 미련을 버리지 못한 북한은 2005년 9·19공동성명 때도 경수로 제공을 끈질기게 요구, 공동성명에 '적당한 시점에서 북한에 경수로를 제공하는 문제를 논의키로 합의했다'는 문구를 포함시켜 경수로 지원의 길을 터두었다.
북한 원전 건설은 전력난 타개가 시급한 북한의 수요와 맞아떨어지며 비핵화를 견인할 협상카드로 거론돼왔다.
앞으로도 그럴 가능성이 남아있지만, 실제 추진을 위해서는 대북제재 등으로 인해 한미 간 합의가 필요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한국형 경수로는 미국이 원천 기술을 가지고 있어 한국 정부가 독자적으로 해외지원건설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https://www.google.com/amp/s/www.voakorea.com/amp/korea_korea-politics_north-korea-nuclear-plant/6055860.html
한국 정부 대북 원전 추진 의혹 논란…"북한 비핵화 진전 없이 불가능"
2021.2.1
문재인 한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2018년 4월 회담 당시 판문점 도보다리에서 배석자 없이 대화를 나누고 있다.
지난 2018년 4.27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당시 문재인 정부가 북한에 원자력발전소를 지어주려 했다는 의혹이 한국 내에서 제기돼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아이디어 차원에서 검토됐다가 북한 비핵화의 불확실성이 높아 중단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https://www.voakorea.com/a/6055877.html
IAEA 전 사무차장 "'북한 원전 계획' 명확한 설명 필요...KEDO 사업과 차원 달라"
202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