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뉴스/소식/카더라

뉴스/새로운 소식/카더라 등의 내용을 공유해주세요.

검증된 중요 뉴스는 타임라인 메뉴에 등록됩니다.

일반 김현지 국정감사 출석해야/윤석열 대통령, 오늘 내란특검 소환 조사 출석/한덕수 이어 박성재도 구속영장 기각

조회수 19 추천 1 댓글 0

https://www.google.com/amp/s/www.newscj.com/news/articleViewAmp.html%3fidxno=3327789
국민 과반 “김현지 부속실장 국정감사 출석해야
전 연령·지역서 출석 응답 우세
2025-10-15     

https://n.news.naver.com/article/422/0000790949?sid=102
[단독] 윤석열대통령, 오늘 내란특검 소환 조사 출석
수정2025.10.15. 오전 8:33


https://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4/02/2025040200205.html
"권력 행사는 잔인하게" 이재명 발언 새록새록 … 野, 헌재마저 장악 시도, 삼권분립 짓밟아
입력 2025-04-03 12:00
수정 2025-04-03 12:00


https://www.google.com/amp/s/www.yna.co.kr/amp/view/AKR20150923212700083
'삼인성호''봉황열반'…시진핑, 고전·문학소양 한껏 과시
송고2015-09-23 20:03



https://www.google.com/amp/s/mobile.newsis.com/view_amp.html%3far_id=NISX20251011_0003358801
"사실대로 말해도 계속 다그쳐"…숨진 양평 공무원 메모
기사등록 2025/10/11 09:58:17 
최종수정 2025/10/11 10:44:57 


https://news.jtbc.co.kr/article/NB12266507
'증인→참고인' 조희대 앉힌 추미애김성태 "추태, 양아치도 이런 짓 안 해"
입력 2025.10.14 11:55


https://www.munhwa.com/article/11538519
국힘, ‘양평 공무원 사망’ 두고 민중기 특검 “가혹행위 고발 검토”
입력 2025-10-11 17:45


https://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1223308.html#ace04ou
“지귀연 주점 나간 뒤 여성 들어왔다”…‘뭐가 문제냐’는 대법원 감사관
수정 2025-10-14 22:15

https://v.daum.net/v/20251014111225700
공수처 "지귀연 부장판사 술접대 의혹, 법과 원칙 따라 수사"
2025. 10. 14. 11:12
"수사에 정해진 시한 없다"…신임 검사 4명 대통령실에 추천

https://www.thereport.co.kr/news/articleView.html?idxno=72255
이재명 대통령 "국정감사에서 증언 거부하고 거짓말을 해?"
입력 2025.10.14 13:29


https://www.google.com/amp/s/www.pennmike.com/news/articleViewAmp.html%3fidxno=101456
"이재명의 '시로코', 접대부 고용해 영업정지 당했던 불법유흥주점"
이상휘 "대장동 일당과 방문했는지, 왜 방문했는지, 무엇을 했는지 해명하라"
2025-05-21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934540?type=editn&cds=news_edit
한덕수 이어 박성재도 구속영장 기각... 비상계엄 관련 수사 제동 걸린 특검
수정2025.10.15. 오전 7:03

https://m.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14010003342#_enliple
박정훈 “김현지, 종북 세력 ‘경기동부’와 연결…李와 ‘범죄공동체’”
2025/10/14 11:11
"김현지, '경기동부' 핵심 김미희와 '잘 알고 지내'"
"李 2004년 성남시의회 난동 당시 김현지도 함께 가담"

https://www.google.com/amp/s/www.donga.com/news/amp/all/20251015/132561308/2
‘불법 대북송금’ 이화영 변호인 “김현지 전화 받고 그만뒀다
2025-10-15 03:00:00
[2025 국정감사]
법사위 국감 ‘김현지’ 쟁점 떠올라
이화영 ‘이재명에 보고’ 진술 이후… 변호인 교체 과정 金관여 의혹
당시 검사 “질책 많이 받았다더라”… 野 “그 자체가 증거인멸-위증교사
與 ‘술자리 회유’ 법무부에 수사촉구

https://www.google.com/amp/s/www.donga.com/news/amp/all/20251003/132515919/1
장동혁 “절대존엄 김현지 위해 이진숙 수사기록 조작”
2025-10-03 10:29:00

https://www.google.com/amp/s/www.chosun.com/politics/assembly/2025/10/03/76TIPXXP6VHJXCQBGC6BKNREIM/%3foutputType=amp
국힘 "'최고존엄' 김현지 논란 덮으려 이진숙 체포"

https://www.news1.kr/politics/assembly/5929229
국힘, 김현지 인사에 "최고 존엄 보호하려 연쇄 이동"
2025.09.29 오후 06:01

https://m.jajusibo.com/45622
조선중앙통신, "최고 존엄 건드리는 자 용서 않고 끝까지 계산할 것"
기사입력 2019-05-22

https://www.yna.co.kr/view/AKR20250605166400505
'미래 먹거리' 시스템반도체 세계적 전문가…김수환 교수 별세
송고2025-06-05 21:16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54788
[단독]유출 자료 뭐길래…원자력안전학교 직원 숨진채 발견
업데이트 2025.07.28 16:43

https://www.google.com/amp/s/www.yna.co.kr/amp/view/MYH20250925014700038
부산 방위산업체서 30대 직원 총기사고 추정 사망
송고2025-09-25 17:05

https://www.kdsn.co.kr/mobile/article.html?no=47320
김영훈 노동장관 “이재명 정부에선 산재 사망률이 국격 나타내는 지표 될 것. 직 걸겠다
2025. 7. 31

https://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19315
나로우주센터 협력업체 직원 사망 “국가보안 허술”
승인 2025년 09월 24일 지면
게재일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최민희 의원실 자료 발표…항우연 보안 허점 지적

국가보안등급 ‘나’급 시설인 나로우주센터에서 협력업체 직원이 주말 중 단독으로 제한구역을 출입했다가 사망한 사실이 공개돼 국가우주기지의 허술한 보안관리가 비판받고 있다.

24일 더불어민주당 최민희 국회의원(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장·남양주갑)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8일 오후 3시 48분 경 항공우주연구원이 운영하는 나로우주센터에서 협력업체 소속 유지보수 인력 A씨가 연소시험설비 내 강도·기밀실험실에 진입한 후 다음날 오전 사망한 채 발견됐다.

항우연 보안업무규정 제70조에서는 ‘제한구역을 출입할 때는 사전 승인과 안내원의 항시 수행’을 규정하고 있으나, A씨는 사고 당일 단독으로 제한구역에 출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항우연은 단독 출입에 대해 “A씨는 상시출입증을 발급받은 인원으로 규정상 주말 출입이 가능했다”며 “상시출입자의 경우 감독관 지정이나 별도 승인 없이도 출입이 가능하다”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최 의원은 “안내원 수행이 필요한 국가보안시설 내 제한구역에 단독 출입을 허용해 사망사고가 발생했는데도 규정상 정당하다고 주장하고 있다”며 “제한구역에서 단독작업을 허용한 것 자체가 규정 위반이며 17시간 동안 생명 이상 여부조차 확인되지 않았다는 사실은 항우연의 보안관리 체계가 붕괴됐음을 보여준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항우연은 사고 이후 나로우주센터 출입지침을 개정해 주말 출입 시 2인 1조 편성, 작업계획 사전통보, 감독관 현장 배치, CCTV 순찰 강화 등의 조치를 시행했다고 밝혔으나 개정 지침은 사고 발생 2개월 후인 지난달 6일에서야 발효된 것으로 확인됐다.

최 의원은 “사고 이후 부랴부랴 규정을 고쳤다는 건 그 전에는 아무런 통제도 없었다는 자인”이라며 “나로호·누리호 발사 기지인 나로우주센터에서 조차 허술한 인명·보안관리가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이 충격적”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출입·보안 체계 전반에 대한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며 항우연 원장은 보안업무규정에 따라 책임을 져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https://m.news.nate.com/view/20251014n18972?mid=m01&list=recent&cpcd=
"특검이 조서 조작했다"…故 양평 공무원 변호인, 직권남용 등 고발 예고
2025.10.14 13:30
최종수정2025.10.14 15:14

https://www.google.com/amp/s/www.khan.co.kr/article/202510031240001/amp
‘국정자원 화재’ 장애 담당 행안부 공무원 세종청사서 투신 사망
2025.10.03 12:40

https://www.asiae.co.kr/article/2025101009440470181
전남도 산하기관 공무원 숨진 채 발견
입력 2025.10.10 09:44

https://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3161123#cb
전남도청 옆 저수지서 전남도 7급 공무원 숨진 채 발견
전날 정상 출근 뒤 회식... 경찰, 사망 경위 수사
등록 2025.08.29 12:11
수정 2025.08.29 19:06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71417
영주 아파트서 휴가중 20대 군인 사망…추락사 추정
입력 2025.10.01 09:46

https://www.news1.kr/diplomacy/defense-diplomacy/5841922#_enliple
국방부서 조사 중 극단 선택 시도한 현직 군인, 끝내 사망
2025.07.10 오후 01:58

https://www.hani.co.kr/arti/area/yeongnam/1216416.html
대구 수성못서 육군 대위 총상 입고 숨진 채 발견
수정 2025-09-02 10:08

https://www.google.com/amp/s/www.donga.com/news/amp/all/20250913/132380584/1
해병대 병장, 차에서 격발된 총에 숨져… 머리 맞아
2025-09-13 09:29:00

https://www.gukbang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335
군 사망 사고 10년간 722명…10건 중 7건 ‘자살’
입력 2025.10.07 10:37
수정 2025.10.09 23:50

https://www.google.com/amp/s/www.yna.co.kr/amp/view/AKR20191008154900001
"전투식량서 귀뚜라미·고무줄 나와…보급 9개월만에 불량 16건"
송고2019-10-09 06:00
정종섭 "신고 뒤 조치까지 최소 6개월…애꿎은 장병들만 피해"

https://www.google.com/amp/s/www.hankyung.com/amp/202005252696G
전과자 100명, 군미필 47명 21대 국회 입성한다
입력2020.05.26 10:23 
수정2020.05.26 10:37

https://www.jayu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43917
與, 최교진 청문보고서 단독 채택…"내각 전과 22범, 음주운전 4명"

https://www.ksmnews.co.kr/news/view.php?idx=568664
먹거리 불신 키우는 정부, 원산지 안전망 허물지 말라
입력 2025/10/14 16:49
국민 불안보다 ‘개방 명분’ 앞세운 정부

정부가 음식점과 집단급식소를 대상으로 시행 중인 ‘원산지 인증제’를 폐지하겠다고 밝히자 국민적 반발이 거세다. 단순히 제도 정비 차원의 조치라 해명하지만, 국민이 체감하는 현실은 전혀 다르다. 
 
먹거리 안전은 단 한 치의 불신도 용납될 수 없는 영역이다. 그럼에도 정부가 충분한 설명이나 대책 없이 제도 폐지를 밀어붙이는 것은 국민 신뢰를 스스로 저버리는 일이다.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이번 조치를 두고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라며 “정부는 국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식품 안전과 관련 오히려 인증제를 강화하라”고 밝혔다.
 
정희용 의원 또한 최근 5년간 1만건이 넘는 원산지 표시 위반 사례를 제시하며 “국민 식탁이 외국산 식재료로 위협받는 상황에서 인증제 폐지는 국민 불신을 키우는 결정”이라 지적했다. 
 
실제로 적발된 위반 사례 중 가장 많은 사례가 중국산 식재료를 국내산으로 둔갑시킨 경우였다. 그만큼 소비자는 ‘국내산’이라는 표시에 의지해 안심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정부는 “인증제 폐지는 표시제와 별개”라며 “원산지 표시 의무는 유지된다”고 해명한다. 그러나 이는 문제의 본질을 비껴간다. 국민이 분노하는 이유는 ‘표시 여부’가 아니라 ‘정부의 의도’에 있다. 인증제가 비효율적이었다면 개선과 강화의 길을 모색해야 했다. 이를 단칼에 폐지하겠다는 결정은 국민이 “수입 확대를 위한 사전 정지작업이 아니냐”고 의심할 만하다.

더구나 중국 농수산물과 관련된 불량·오염 사례가 연이어 드러나는 상황에서, 정부가 오히려 안전장치를 걷어내는 듯한 행보는 국민 불안을 가중시킨다. 
 
중국산 식재료에서 농약·납·화학첨가물 검출, 신선도 조작 사례가 잇따르며 “값보다 안전이 우선”이라는 사회적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정부는 국민의 경계심을 풀어줄 대책을 제시해야 한다.

먹거리는 주거와 더불어 인간 생존의 근본이다. 정부는 수입 개방이나 행정 편의보다 국민의 식탁 안전을 우선해야 한다. 제도의 효율성만 따질 일이 아니라, 국민의 신뢰와 안심을 확보하는 일이 더 중요하다. 
 
원산지 인증제 폐지에 앞서 정부는 인증의 실효성을 높이고, 위반업소에 대한 처벌 강화, 수입 식재료의 전수 검사 확대 등 구체적인 안전 강화 방안을 내놓아야 한다.

국민은 언제나 ‘밥상 위의 진실’을 원한다. 정부가 해야 할 일은 그 신뢰를 지키는 것이다. 정책의 방향이 국민 불안을 키운다면, 그것은 어떤 명분으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 먹거리 안전은 타협의 대상이 아니다.

https://www.google.com/amp/s/www.yna.co.kr/amp/view/AKR20250826124700065
인천공항 울타리 들이받은 차량…공항공사 자회사 직원 사망
송고2025-08-26 14:23

https://www.google.com/amp/s/biz.chosun.com/topics/topics_social/2025/08/19/GXWFU4HSOBHKNM4BFOCYOGCB5I/%3foutputType=amp
경북 청도서 무궁화호-코레일 작업자 등 충돌… 사망 2명·중경상 5명
작업자 도보 이동 중 뒤에서 열차가 들이받아
전동차여서 소음 적어 인지 못한 것으로 추정
무궁화호 열차 승객 89명은 다치지 않아
입력 2025.08.19. 13:01
업데이트 2025.08.19. 23:24

https://www.google.com/amp/s/www.chosun.com/national/transport-environment/2025/08/02/OW6M56O4WNDF5BFR4HNN5ODVMM/%3foutputType=amp
지리산서 퇴근하다가 직원 사망… 국립공원공단, 중대재해법 긴장
퇴근길 사고, 산재 힘들지만 "산에서 발생… 근무로 봐야"
입력 2025.08.02. 00:54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5092317490002893
'오산 옹벽 붕괴 사망사고' 청문회 출석 공기업 직원, 숨진 채 발견
입력2025.09.23 18:36
수정2025.09.23 18:52



전체 댓글 0 기본순 최신순 공감순
    • 번호
    • 구분
    • 제목
    • 작성
    • 읽음
    • 추천
    • 등록
    • 333
    • 일반
    • 김정은 숙원이던 '1000병상' 평양종합병원, 5년 반 만에 준공/북한 군부대도 의약품 부족난  
    • 15
    • 0
    • 10-16 02:28
    • 332
    • 일반
    • "퇴직금 이백이라도…" 쿠팡 수사했던 검사 울먹인 이유/與 사법개혁안 막판 조율…‘전면 4심제 도입/대법관 증원·재판소원 담긴 사법개혁안 20일 발표할 듯’ 가능성  
    • 16
    • 0
    • 10-15 23:40
    • 331
    • 소식
    • 대한민국에서 태극기를 못든다..라... 4
    • 91
    • 12
    • 10-15 13:09
    • 330
    • 뉴스
    • [단독] “이재명 싱가포르 저수지(비자금)” 미국도 알고 있다 -NNP뉴스 1
    • 101
    • 5
    • 10-15 09:15
    • 일반
    • 김현지 국정감사 출석해야/윤석열 대통령, 오늘 내란특검 소환 조사 출석/한덕수 이어 박성재도 구속영장 기각  
    • 19
    • 1
    • 10-15 09:13
    • 328
    • 일반
    • 심야 열병식...민낯 드러낸 '평양의 밤'/총리 유력 일 다카이치, 한·일 협력 이어가고 APEC이 한·미·일 협력 계기 돼야  
    • 26
    • 1
    • 10-15 05:48
    • 327
    • 일반
    • ‘가세연’ 출연 유튜버 김용호, 부산 호텔서 숨진 채 발견/  
    • 27
    • 2
    • 10-15 02:00
    • 326
    • 일반
    • 이재명 변호인단 출신 8명, 정부 요직서 억대 연봉  
    • 28
    • 1
    • 10-14 18:13
    • 325
    • 뉴스
    • 김현지 불출석 1
    • 81
    • 4
    • 10-14 09:54
    • 324
    • 뉴스
    • 진실은 다르다. 헌재 판결에 중대 하자? -성창경TV FNTODAY  
    • 74
    • 2
    • 10-13 21:23
    • 323
    • 일반
    • 국방 전산망/공군 정비사 전역/국내 최고 병영체험장 재연  
    • 26
    • 1
    • 10-13 16:22
    • 322
    • 일반
    • 부동산에 수십억 투자한 페이퍼컴퍼니… 알고 보니 자본금 '100원'  
    • 55
    • 2
    • 10-13 15:19
    • 321
    • 소식
    • 파기자판 했어야지요! - 신동욱 의원  
    • 86
    • 3
    • 10-13 13:27
    • 320
    • 일반
    • 김현지 감싸는 오만  
    • 51
    • 1
    • 10-12 23:17
    • 319
    • 일반
    • 드러날까 두렵나/버닝썬 수사에···"관심사 아니었다"는 경찰/캄보디아 1억弗 횡령 `라임사단` 줄줄이 연루  
    • 35
    • 1
    • 10-12 22:06
    • 318
    • 일반
    • 중국이 보낸 '죽음의 무기'... 21만 명 잃은 미국의 대책은?/중국, 마약 범죄로 캐나다인 4명 사형 집행  
    • 45
    • 0
    • 10-12 14:48
    • 317
    • 소식
    • 미국, 한반도 전략 재정비 본격 착수 by Jean Cummings  
    • 134
    • 3
    • 10-12 14:30
    • 316
    • 일반
    • 대통령 “김현지 국감 못나가/국감, 최태원·정의선·정용진 등 총수 포함 200명 출석 요구...'기업인 망신주기 구태' 재연하나?  
    • 44
    • 1
    • 10-11 21:52
    • 315
    • 일반
    • 특활비 내역 공개했지만 구체적 사용처 빠져/3대 특검 "특수활동비 공개 어렵다"…'내로남불' 비판/서울동부지검은 '특활비 공개' 결정했는데, 실무자는 "바빠서 못 준다"  
    • 36
    • 1
    • 10-11 18:27
    • 314
    • 일반
    • 100주년 시진핑은 2027년 대만 칠 것 / 국감출석 피할수록 대통령 김현지  
    • 131
    • 1
    • 10-11 12:33

      오늘 마감 예정 법안 9 건 !! Freedom Is Not Free

     21696명의 애국자가 가입하여 활동중입니다.

    33건의 주요 청원이 진행중입니다. [청원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