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5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에 맞춰 한국수력원자력과 미국 원전 기업 웨스팅하우스가 조인트벤처(JV) 설립 등을 포함한 한국 원자력 산업의 미국 시장 진출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전해졌다. 합의가 예정대로 진행되면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를 뛰어넘는 양국 간의 산업 협력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0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전날 국회에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철규 산자위원장, 여야 간사와 만나 조만간 양국 간 원전 관련한 협력 합의가 있을 것이라고 보고했다. 관련 합의는 사실상 K원전이 미국 시장에 진출하는 내용이 될 것으로 전해졌다. 사정을 잘 아는 야권 관계자는 이날 본지에 “한수원과 미국 웨스팅하우스가 조인트벤처(JV)를 만드는 내용”이라며 “독자적인 원천 기술이 있는 웨스팅하우스와 세계 최고 수준의 시공 능력을 갖춘 한국 기업이 협력하겠다는 것”이라고 했다. 이 같은 계약이 구체화되면 트럼프 정부가 추진 중인 미국 원전 300기 건설 계획에 한국도 적극 참여하게 될 전망이다. 웨스팅하우스는 원천 기술이 있는 대신 시공 능력이 사실상 없어 한국 기업들과 협력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등으로 급증하는 전력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오는 2050년까지 원전 약 300기를 추가 건설하겠다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번 합의는 한수원과 웨스팅하우스의 협력이 지난 수년간 꾸준히 이어져 온 것으로 알려졌다. 야권 관계자는 “윤석열 정부 때부터 관련해서 합의를 이어오다 이번에 최종 내용이 확정돼 서명하는 것”이라며 “K원전 산업의 쾌거”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정부는 전 정부의 성과를 폄훼해선 안 된다”고 했다. 앞서 정부·여당은 윤석열 정부 당시 체코 원자력발전소 건설 수주 과정에서 미국 원전 기업 웨스팅하우스와 불공정한 계약을 맺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진상 조사에 들어갔다. 일부 언론은 한수원·한전이 지난 1월 웨스팅하우스(WEC)와 작성한 합의문에, 향후 50년간 원전 수출 시 WEC에 1기당 6억5000만달러(약 9000억원) 규모 물품·용역 구매 계약 및 1억7500만달러(약 2400억원)의 로열티를 제공한다는 조항이 들어갔다며 불공정 계약이라고 했었다. 한편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은 ‘불공적 계약’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입장을 밝혔다. 김 장관은 전날 국회 산자위 전체회의에 출석해 김성원 국민의힘 의원의 관련 질의를 받고 “한국과 체코 간 계약은 정상적으로 이뤄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했다. 황 사장도 ‘합의 내용이 너무 지나치게 불리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는 산자위 여당 간사 김원이 의원의 질의에 “원전산업 전반의 이익 구조를 보면 그렇지도 않다”고 했다. 그는 “‘불리한’이라는 단어에 대해서도 동의하지 못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