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새로운 소식/카더라 등의 내용을 공유해주세요.
검증된 중요 뉴스는 타임라인 메뉴에 등록됩니다.
뉴스/새로운 소식/카더라 등의 내용을 공유해주세요.
검증된 중요 뉴스는 타임라인 메뉴에 등록됩니다.
조회수 28 추천 1 댓글 1
https://edujb.com/news/articleView.html?idxno=4040
서거석 교육감 처남, 용담댐 인근서 숨진 채 발견
입력 2025.04.12 10:35
https://www.google.com/amp/s/www.yna.co.kr/amp/view/AKR20250626065452004
대법, 서거석 전북교육감 벌금 500만원 확정…당선무효(종합)
2025-06-26 10:42
교육감 선거 때 '동료 교수 폭행 의혹' 관련 허위사실공표 혐의
https://www.news1.kr/local/jeonbuk/5883488
서거석 전 전북교육감 선거보전비용 등 12억5000만원 미반환
2025.08.19 오전 11:39
선관위 "세무서에 징수 위탁 진행 중"
https://www.google.com/amp/s/www.jjan.kr/articleAmp/20171210627464
제12기 민주노총 전북본부장·사무처장에 노병섭·김동규씨 당선
2017-12-11
https://www.google.com/amp/s/www.yna.co.kr/amp/view/AKR20250626073400055
전북교육감 낙마, 내년 선거 벌써 관심…6명 안팎 하마평
2025-06-26 11:16
진보진영 단일화 여부·교수 출신 교육감 '전통' 이어질지 관심
http://m.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A&nNewsNumb=202403100027
국방연구원 김윤태 원장, 이재명 대선 지원, 채용 부정 사실로 드러나
감사원 감사 결과 확인된 국방연구원 비리 보도
2024. 2. 13.
⊙ 《월간조선》, 내부 제보 받아 2022년 6월호, 10월호, 2023년 1월호 보도
⊙ ‘북한산등반모임’ 대화방 개설… 국방연 원장, 센터장 3명, 국방대 교수 등 참여
⊙ 김윤태 원장, 감사관이 대화방 사진 자료 제시하자 ‘자신이 올린 문서 맞지만 문서 내용 기억할 수 없다’
⊙ 국방인력연구센터장, 보도 직후 ‘완전 삭제 프로그램’으로 이재명 공약 파일 삭제
⊙ KIDA 감사실장, 대선공약 개발 참여자에게 허위 진술 종용
⊙ 국방부, 2월 13일 감사원 발표 바탕으로 김윤태 원장 해임
⊙ KIDA 내부 제보자, “김윤태 원장, 윤석열 정권 대비해 만든 ‘정년 보장’ 조항 때문에 퇴직 아닌 해임”
https://www.google.com/amp/s/mobile.newsis.com/view_amp.html%3far_id=NISX20250131_0003049178
檢, '이재명 캠프 지원 의혹' 김윤태 전 국방연구원장 등 기소
기사등록 2025/01/31 16:42:25
최종수정 2025/01/31 16:52:23
이재명 대선 후보 시절 공약 수립 지원 의혹
김정섭 세종연구소 부소장·국방대 교수도 불구속 기소
https://www.google.com/amp/s/amp.seoul.co.kr/seoul/20250201500022
‘이재명 대선 지원’ 김윤태 전 KIDA원장, 친민주 싱크탱크서 재기 모색
수정 2025-02-01 12:26
입력 2025-02-01 12:26
이재명 캠프 지원 의혹 인물들 기소
김윤태, 親민주 싱크탱크서 재기 모색
국민의힘 “이재명, 인과응보의 시간”
https://www.google.com/amp/s/www.yna.co.kr/amp/view/AKR20250619110400004
'20대 대선 李 공약지원' KIDA 전 원장 해임, 2심도 "무효"
2025-06-19 14:56
작년 감사원 발표 이후 국방부 해임…1심 "해임 대상 아냐"
https://m.news.nate.com/view/20221212n05787
국방硏, 홍릉국방포럼 개최…미중 경쟁 속 안보전략 등 모색
2022.12.12 09:30
"확장억제 강화", "美, 한국 핵무장 논의 이해해야" 주장 등
북한이 지난달 공개한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17형 시험발사 사진
북핵·미사일 대책과 미중의 전략경쟁 시대 국방·안보전략을 모색하는 국제회의가 열렸다.
한국국방연구원(KIDA)은 12일 연구원 내 관영당에서 '2022 홍릉 국방 포럼'(2022 HDF)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14일까지 이어진다.
AD
이날 '불확실성의 시대, 글로벌 중추국가 한국의 국방협력' 주제로 열린 본회의에서는 조남훈 KIDA 미래전략위원회 위원장은 "북한의 핵탄두 보유량이 상당히 늘어날 가능성이 커지고 있고 핵공격 실현 가능성도 점차 커지는 실정"이라며 "미국이 제공하는 확장억제 신뢰성 증진을 위한 약속 확인 및 조치가 지속해야 하며 상시 배치에 버금가게 미국 전략자산 전개를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릴 프레스 미국 다트머스대학 교수는 사전 녹화 영상에서 미국이 동맹국 한국의 전술핵 재배치 및 자체 핵무장 논의를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샤오 테이톄펑 중국 군사과학연구소(AMS) 부연구원은 "현 상황에서 흥분하지 않고 차분한 상태를 유지하며 각자의 말과 행동을 조심하고 동시에 긴장을 고조하고 오판에 이르게 할 수 있는 행동을 자제해야 한다"며 양비론적 시각을 펼쳤다.
참석자들은 갈수록 첨예해지는 미중 경쟁구도 속에 앞으로 10년이 국제질서를 결정지을 것으로 관측했다.
조엘 우스노 미 국방대학 국가전략연구소(INSS) 선임연구위원은 "세계가 결정적 10년의 도전을 맞이해 미중 전략적 경쟁의 결과에 따라 세계 질서가 결정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에릭 모브랜드 미 랜드(RAND)연구소 학국석좌는 "인도태평양지역에서 "경제 사안이 안보와 맞물리면서 의도치 않은 결과와 오해가 넘쳐날 수 있다"며 한국 기업에 큰 타격이 예상되는 '인플레이션 감축법'의 유사 상황이 언제라도 일어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13일에는 우리나라와 8개국(미국, 일본, 중국, 베트남, 몽골, 말레이시아, 인도, 우크라이나) 기관이 참여하는 국방교류협력 양자회의가 비공개로 진행된다.
특별세션으로 마련된 한·우크라이나 대화에는 포노마렌코 우크라이나 대사를 비롯한 우크라이나 국방·안보 관계자가 참석해 우크라이나 사태를 평가하고 앞으로 유라시아와 한반도 평화번영을 위한 과제에 관해 의견을 교환한다.
마지막 날인 14일에는 한미일 3자 협력을 위한 각국의 전략과 협력 방안을 공유하는 한미일 특별세션, 한국과 EU의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한·EU 다자회의가 이어진다.
이번 포럼에는 신범철 국방부차관 등 전현직 정부 인사, 캐서린 레이퍼 주한 호주대사, 드미트로 포로마렌코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 마리아 카스티요 페르난데스 주한 EU 대사, 제임스 크랩트리 영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 아시아지부장 등 연구기관장이 참석했다.
한편 KIDA는 국방포럼을 아시아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 의제를 발굴하는 '셰르파(길잡이) 회의' 역할을 하고, 1.5트랙 다자안보협의체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https://m.news.nate.com/view/20250824n07032
핵 재처리 허용하는 한미원자력협정 개정에 반대한다
2025.08.24 12:03
최종수정2025.08.24 19:53
[주장] 재처리 과정서 발생하는 위험 수두룩... 대한민국 국익에 도움 되지 않을 것
https://www.google.com/amp/s/www.chosun.com/politics/diplomacy-defense/2025/07/25/3TQ2QTVPNVEYNBLSG4L5PQCJAA/%3foutputType=amp
사용후핵연료 재처리·우라늄 농축 허용되면 '핵 잠재력' 확보
한미 원자력 협정 쟁점은
입력 2025.07.25. 00:55
수정 2025.07.25. 13:37
https://www.google.com/amp/s/www.newsfreezone.co.kr/news/articleViewAmp.html%3fidxno=473017
'폭우 속' 양이원영 직격한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실체
41차 촛불대행진 길거리 강연, "아무도 모르는 시찰단, 들러리하러 다녀왔느냐" "오염수 육상보관할 수 있는데, 돈 아깝다고 우리 모두 바다에 핵폐기물 투기라니"
2023-05-29
https://m.edaily.co.kr/News/Read?newsId=03936006632267912&mediaCodeNo=257
우원식 “원전 최강국 정책은 시대착오적 에너지 쇄국 정책”
2022.03.28 18:27:28
민주당, 尹당선인 원전확대 정책 중단 촉구
우원식·양이원영 등 민주당 의원 72명 참여
https://www.jjan.kr/article/20061214209584
"전북대가 국립대 통폐합 앞장서달라" 서거석총장에 주문
웹승인 2006-12-15 23:02
수정 2006-12-14 20:51
https://www.newdaily.co.kr/site/data/html/2015/08/25/2015082500074.html
김일성 혁명 떠받든 신영복, 교보가 띄워주는 까닭은?
감옥간 한명숙 뒤엔 '좌파의 핵심' 신영복 있다
입력 2015-08-25 12:01
수정 2015-08-26 13:02
자본주의 단맛 빨아 먹은 <교보문고> <중앙일보>, 앞다퉈 '혁명전사'를 홍보
https://www.economytalk.kr/news/articleView.html?idxno=127361
[지하당에서 통진당까지] 종북좌파실체
입력 2014.12.31 09:48
수정 2014.12.31 15:57
인혁당·통혁당 거쳐 일심회 간첩단, 범민련, 한총련 등 이적단체 활동
[지하당에서 통진당까지]
종북좌파실체
인혁당·통혁당 거쳐 일심회 간첩단
범민련, 한총련 등 이적단체 활동
http://www.jbcka.com/news/articleView.html?idxno=16093
기모란까지, 문 정권의 통혁당 인맥 사실인가
승인 2021.04.22
기모란 청와대 방역기획관 논란속 임명, 기세춘 통혁당 사건 연루 딸
문재인, 통혁당 핵심 신영복, 한명숙 전 총리 남편 박성준 존경
통혁당 사건은 대한민국 체제전복을 노린 6.25 이후 최대 사건
김어준이 진행하는 방송에 출연, 논란의 중심이 된 기모란 청와대 방역기획관.
https://www.medicaltimes.com/newMobile/News/NewsView.html?ID=24684
전북대 두재균 총장 사퇴압력...교육부 조사
발행날짜: 2006-01-25 08:02:42
연구비 횡령혐의 1심서 실형선고, 교수협등 반발
https://www.google.com/amp/s/www.jjan.kr/articleAmp/20060512186847
전북대 두재균 총장 어떻게 되나
2006-05-12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35278.html#ace04ou
https://www.hani.co.kr
두재균 전북대 총장 돌연 사의…교육부 “안된다”
2006-06-23 14:55
https://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45470&replyAll=&reply_sc_order_by=I
방사성 폐기물 관리시설 안정성 심포지엄
승인 2003.04.24 17:09
방사성 폐기물 관리시설의 안정성에 관한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전북대가 25일 방사성 폐기물 관리시설의 안정성과 관련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특히 전북대 두재균 총장은 최근 전북도와 공동으로 양성자 가속기와 방사성 폐기물 유치를 연계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이날 심포지엄은 방사성 폐기물의 안정성을 집중적으로 부각시키는 자리가될 전망이다. 이날 오전 10시 30분부터 전북대 자동차산학협동관에서 열리는 심포지엄에서는 원자력환경기술원 연구개발실장인 송명재 박사가 방사성 폐기물 관리시설 추진 현황과 향후 전망을 내용으로 주제발표를 한다.또 전북대 첨단방사선 응용연구센터장인 양오봉 교수는 방사성 폐기물 관리 시설의 안정성에 관한 학술적 고찰으로 내용으로 역시 주제 발표를 할 예정이다.
https://m.pressian.com/m/pages/articles/24483
'부안' 핵폐기물 처리장, '제2 새만금' 되나?
전북 부안군 단독 유치 신청 놓고 치열한 논란
2003-07-15 09:02:00
2003-07-14 17:58:00
https://www.google.com/am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3/09/29/2003092970241.html%3foutputType=amp
[진단과기획/방사성폐기물처리장] 전문가 반박
"지하수 많은 위도, 유럽과 달라"
입력 2003.09.29. 16:36
전북 부안군 위도에 들어설 예정인 중·저준위급 방사성 폐기물(이하 방폐물) 처리장을 놓고 외국 전문가들과 시민 단체 및 국내 일부 전문가들은 상반된 의견을 내놓고 있다.
방한한 외국전문가들은 대체로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이 안전하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필렬(李必烈) 방송통신대 교수(자연과학과)는 “중·저준위라고 해서 방폐물 처리장이 무조건 안전한 것은 아니다”고 말한다. 유럽의 방폐물에 대한 인식과 처리 방식이 한국에 그대로 받아들여져서는 곤란하다는 것이다.
이른바 ‘원자력 선진국’인 유럽 각국은 지반·지하수 등 주변환경을 고려해 방폐물 처리장을 장기간에 걸쳐 건설했고, 이에 따라 건설 노하우도 상당 기간 쌓여왔다. 실제로 스웨덴의 포스마크 폐기물 처리장은 단단하고 안정된 화강암 지반에 지하수와의 접촉이 어려운 지점에 건설됐다.
이 교수는 “지하수가 많은 위도에 설치되는 방폐물 처리장을 유럽의 처리장과 똑같이 평가하면 곤란하다”고 말했다. 또 논란은 있지만, 프랑스의 라망쉬 처리장 등 60년대에 만들어진 유럽 지역 일부 방폐물 처리장의 경우 주변 지역에서 기준치를 넘는 방사능이 검출되기도 했다고 이 교수는 덧붙였다.
양이원영(梁李媛暎) 환경운동연합 부장도 “방사성 물질이 ‘위험한 물질’임을 인정하고 폐기물 처리장 설치를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전한 처리방법이 발달해 있어도, 이를 유지·보수할 ‘사람’은 영원하지 않다는 것을 잊으면 안 된다는 뜻이다. 양 부장은 “기술적으로 완벽한 시설이라도, 관리 소홀로 방사능이 누출될 위험은 언제나 있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유럽에서는 10~20년씩 걸려 처리장 건설을 주민과 완벽하게 합의하고 있다. 이때문에 정부가 당분간 임시 보관소를 증설한 뒤, 시간을 충분히 갖고 주민과 끊임없는 설득과 대화로 원만한 합의를 본 다음 처리장을 건설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https://m.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59336
미제사건 충격의 그날 이후 - [2] 전북대 여대생 이윤희씨 실종 7년
13.07.08 09:26
아버지 새로운 주장 “주범 따로 있다”
https://vop.co.kr/A00000041601.html
전북대 총학생회, 용역깡패 됐나?
민노학위 사무실 철거 강제집행 나서...물리력 행사까지
발행 2006-04-20 12:10:46
https://vop.co.kr/A00000041162.html
전북대 총학, "민노당 학위 학교서 나가라"
정치활동 금지...등록금 합의 재협상 요구 활동에 보복?
발행 2006-04-14 18:00:48
http://m.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nNewsNumb=201310100009
[특집] 이석기 내란음모사건 수사 | 전직 민주노동당 당직자의 從北 主思派 관찰기
⊙ 2004년 울산북구 지구당에서 ‘선군정치의 중요성’ 문건 발견, 이석기 녹취록과 내용 흡사
⊙ 경기동부연합, 2001년 ‘9월 테제’ 이후 NL의 민노당 접수에 앞장서
⊙ 2006년 북핵실험 후 민노당 중앙위원의 55.6%가 ‘유감 결의’에 반대, 美에 책임 전가하는
성명 채택 시도
⊙ 從北-親北-溫北 분리 전술 필요
洪奇杓
⊙ 43세. 방송통신대 경제학과 졸업.
⊙ 철도청, 민주노동당 권영길 대통령후보 비서실, 同인터넷위원회 근무. 現 자루기획·글통출판사 대표.
https://www.google.com/am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4/11/26/2014112602376.html%3foutputType=amp
'從北콘서트'로 논란 일으킨 황선 전 민노당 부대변인…그의 과거 행적 봤더니
입력 2014.11.25. 10:02
수정 2020.07.26. 16:13
https://www.newdaily.co.kr/site/data/html/2014/11/25/2014112500049.html
시간까지 맞춰가며, 노동당 창건 60주년 기념?
10월10일10시, 황선이 북한서 아이 낳은 시간
입력 2014-11-25 12:26
수정 2014-11-26 19:31
https://www.khan.co.kr/article/200301132258181
전북시민단체 ‘법인화’로 거듭나기
2003.01.13 22:58 입력
https://www.ohmynews.com/NWS_Web/Mobile/img_pg.aspx?CNTN_CD=IE003011192
기후위기비상행동, 탈핵시민행동 등 시민단체 회원들
2022. 6. 24.
전북대 이성호 산학협력단 교수. 기후위기비상행동, 탈핵시민행동 등 시민단체 회원들이 지난 21일. 기후위기비상행동, 탈핵시민행동 등 시민단체 회원들
http://www.sjbnews.com/news/print.php?code=li_news&number=854954
2025년 07월 13일 16시58분
李, 김윤덕 국토부장관 후보자 지명
14일 정동영 등 차례로 인사청문
https://biz.chosun.com/topics/topics_social/2025/06/04/NLVX6OPD2NDK3HQKRKIVAIWZXQ/
교육부, 전북대 종합감사서 부당행위 26건 적발
입력 2025.06.04. 18:08
https://m.news.nate.com/view/20250813n12390?mid=m03&list=recent&cpcd=
전북대, 브라질 대학·국방부·산업체와 협력 추진
2025.08.13 1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