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뉴스/소식/카더라

뉴스/새로운 소식/카더라 등의 내용을 공유해주세요.

검증된 중요 뉴스는 타임라인 메뉴에 등록됩니다.

소식 중국인들 무비자 결국 시행 --눈팅귀팅, 성창경TV, 이봉규TV

조회수 268 추천 4 댓글 0


중국인들 무비자 결국 시행. 전국 엄마들 초비상! 홍석현의 8년전 예언 현실화. 정부 "내년까지 100만명 착륙 기대"


https://www.youtube.com/watch?v=IgSnLxI_m-M



요약




영상 요약: 중국인 무비자 입국 시행과 사회적 초비상





1. 무비자 입국 시행과 정부의 기대


중국인 무비자 입국이 예정대로 29일에 시행되었습니다. 정부는 최근 발생한 국정자원 화재와는 무관하게

이를 허용한다는 입장입니다.

정부는 이번 조치로 내년 6월 30일까지 국내 관광객 약 100만 명 정도가 한국을 더 찾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영상은 이 100만 명이 단순한 관광객이 아니라 한국에 터를 잡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2. 정치권의 갈등 및 미온적 반응

무비자 입국 시행에 대해 정치권에서는 의견이 엇갈렸습니다.

나경원 의원은 중국인들을 막아야 한다며 무비자 입국 연기를 요청했지만,

민주당 고민정 의원은 이를 '망상'이라 부르며 중국인들을 환영하고,

나 의원의 주장이 인종 차별을 기반으로 한 것이라고 비난했습니다.

영상은 자국민 피해를 막자는 요구가 어떻게 인종 차별이 될 수 있는지 반문합니다.

또한, 대한민국이 중국의 기술 유출로 인해 매년 60조 원 이상의 피해를 보고 있는 현실에도 불구하고,

여야 정치인 모두 중국에 굽신거리고 있으며

무비자 입국에 대해 상당히 미온적인 반응을 보인다고 지적합니다.

심지어 부산 시장은 무비자 부산 홍보를 열렬히 환영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3. 홍석현 회장의 예언 현실화 및 충격적인 입국자 배경 의혹


약 8년 전, 중앙일보 홍석현 회장은 10년 뒤 한국인들이 중국인들 발 마사지를 하면서 살게 될 것이라 예언했는데,

이 예언이 8년 만에 현실화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


특히, 이번 무비자 입국과 관련하여 중국 지하 교회 선교사의 증언에 따르면 충격적인 내용이 소문으로 돌고 있습니다.

현재 중국 내 일반 국민들은 출국 금지 상태이며, 돈이 있거나 공산당 권시가 있는 극소수 사람들만 출국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소문으로는 교정 시설의 범죄자들, 흉악범, 마약사범, 음주운전 사범, 도박사범들 위주로

'자원 형식'으로 한국에 보냈다는 내용이 있으며, 이는 잃을 거 없는 자들이 한국에서 사고를 쳐보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고 영상은 전합니다.




4. 여론 조작 및 치안 불안정 심화 우려


영상은 국내 여론 조작 시도에 대한 우려도 제기합니다. 민경욱 전 의원이 국정자원 화제 시기에

부정 선거에 동원된 중국인들 주민등록 기록을 대량 발급하고 삭제했다는 의혹을 제기하자,

중국인들이 댓글로 나타나 근거 없는 소설이라며 반박했습니다.

이러한 패턴은 중국인들의 댓글 부대 활동이라는 점을 숙지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댓글을 단 중국인 계정은 실제로 중국말로 뒤덮여 있었고 국내 여론 조작을 위한 플랫폼들을

공유하고 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결국, 중국인들이 대규모로 몰려오면서 전국의 엄마들은 초비상 상태에 들어갔으며,

자녀들의 안전 문제에 대해 깊이 걱정하고 있습니다. 이제 중국인들은 국내에 상상 이상으로

자리를 잡게 되면서 걷잡을 수 없는 다양한 범죄와 예측불가 상황이 펼쳐질 것이라는 우려가 큽니다.




5. 결론 및 대국민 촉구

영상은 대한민국이 이제 중국이 아닌 대한민국의 간판 상태에 놓여있으며 (예: 중국어로 된 편의점에서 괴리감을 느낌),

앞으로 원인 미상의 사건과 사고가 속출할 것이라고 경고합니다.

특히 중국의 국경절 연휴 기간에 무려 23억 명이 대이동할 예정이어서,

한국과 중국이 허무하게 통합되는 것이 아닌지 우려를 표합니다.

영상은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인 무비자 입국을 전면 중단해야 하며,

전국 엄마들이 똘똘 뭉쳐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자녀들의 안전을 위해 밤늦게 돌아다니지 않기,

낯선 사람의 것 받지 않기 등의 주의사항을 당부하며, 영화에서 벌어지는 일이 현실로 다가올 수 있다는

결론과 함께 전국의 엄마들은 의기투합하여 반중(反中)을 해야 한다고 촉구하며 마무리됩니다.






정부, 출입국 시스템 문제 없다더니, 무비자 중국인 입국 서류 보니 충격...나경원의원 폭로 (2025.9.29)


https://www.youtube.com/watch?v=K8Ib5pYpYnc



요약


중국인 무비자 입국 정책과 관련된 논란 및 시스템 상의 허점을 폭로하는 내용입니다.




1. 무비자 입국 정책 시행과 정부의 시스템 안전성 주장


중국인들의 무비자 입국이 시작되면서 백화점과 면세점 등에서는 중국인 유치를 위한 대규모 이벤트 행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법무부는 출입국 시스템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밝혔으며,

심지어 중요한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화재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스템에 문제가 없다고 주장하며 무비자 입국 정책을 강행했습니다.




2. 전자 입국 시스템 오류 및 주소 기입 의무 면제 논란


겉으로는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지만, 실제로 법무부는 뒤에서는 충격적인 긴급 공지를 올렸습니다.

바로 전자 입국 시스템 오류를 이유로 입국자의 주소를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이는 매우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는데, 일반적으로 모든 입국 심사 신고 절차에서는

체류지 주소 기입이 필수이기 때문입니다. 나아가 글로벌 기준에서도 해외 주요국의 입국 심사 및

비자 면제 제도에서는 체류지 주소를 필수로 요구하고 있습니다.




3. 주소 누락의 위험성과 사후 관리 불가


주소 입력이 누락될 경우, 무비자 입국자가 입국 후 어디서 생활하는지, 무엇을 하는지 전혀 알 수 없다는 것이

핵심 문제입니다.

이러한 정보의 누락은 다음과 같은 출입국 관리의 허점과 위험을 야기합니다:


• 사후 관리 및 현장 통제 불가능:

실제로 입국자들을 추적할 수 없게 됩니다.


• 신속 대응 불가:

범죄, 불법 체류, 감염병 확산 등 유사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없게 됩니다.


• 잠재적 위협 가능성:

한국에 들어오는 중국인들 가운데 불순한 사람들, 감염병 환자,

심지어 간첩까지 있을 수 있다는 추측이 제기됩니다.




4. 나경원 의원의 폭로와 비판


나경원 의원은 이 긴급 공지 사항을 폭로하며, 이 문제는 단순히 입국 심사 절차상의 차질 유무를 넘어선다고 강조했습니다.

나 의원은 입국자들의 국내 체류지 정보와 이동 경로, 실원 확인이 반드시 정확하게 입력되고

연동되어야만 불법 체류, 실원 확인 실패, 사후 추적 실패 사태를 예방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나 의원은 무비자 정책 대신 비자 발급 절차를 거치되 불필요한 현행 절차를 간소화하여 안전과 신

뢰를 지키면서 관광 유치를 하면 되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습니다.




5. 정치적 공방 및 정책 연기 요구


나경원 의원의 문제 제기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등에서는 이를 **"거구적인 발상이다"**라며 비판했습니다.

이에 나 의원은 중국이나 북한 이야기만 나오면 과민 반응(경기를 하는 자들)을 보이는 일부 정치인들이 국민과 국익을 지키려는

시선을 '거구'로 보는 것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결론적으로, 나경원 의원은 법무부를 향해 형식적 설명을 멈추고,

국민 불안을 해소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자원 확인과 정보 관리, 사후 대책을 완비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이 완전히 정착되고 복구될 때까지 무비자 입국 정책을 연기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현재 상황은 정부가 "아무 문제 없다"고 해놓고 뒤로는 주소지 기입을 면제해주는


**"대국민 사기극"**이 아닌지 의심된다는 시각도 제시되었습니다.










전산실 화재 수상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2d6-SEUPL2o



요약



제공해주신 자료는 국가정보 자원 관리원(NRS) 전산 시스템에서 발생한 화재 사건이

단순 사고가 아니라 여러 가지 수상한 점을 포함하고 있다는 전문가의 제보와 의혹을 설명하는 내용입니다.


평생 소방관으로 복무하며 화재 현장 분석을 해온 전문가의 제보이기에 신뢰성이 높다고 합니다.


다음은 소스 내용을 설명하듯이 요약한 내용입니다.




1. 화재 발생 시점 및 초기 대응에 대한 의문점


수상한 발생 시간: 화재는 9월 26일 오후 10시 15분에 발생한 것으로 언급되었으나,

특정 시점인 오후 8시 15분이 다른 사건들(이재명 씨 귀국 5시 40분, 검찰청 및 방통위 폐지 7시)과 시간 단위로

연관된다는 점이 지적됩니다.


특히, 8시 15분은 2015년 우한공항 추락 사고 발생 시간과 같다는 주장이 제기되며,

이러한 시간적 일치가 우연의 일치인지 의심스럽다는 의견입니다.


대응 방식의 비정상성:


• CCTV 미공개: 국민들의 실생활에 영향을 주는 국가적 시스템 마비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화재 현장의 CCTV 영상을 수사하여 밝히지 않는 이유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브리핑 주체 논란: 이러한 국가적 재난 사고 발생 시에는 현장 지휘를 맡은 서장이 아니라

소방청장, 총리실, 또는 대통령 비서실 등 고위급에서 브리핑을 하는 것이 맞지만,

현장 진압에 전념해야 할 서장이 브리핑을 하는 것은 책임 회피가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됩니다.




2. 기술적 의문점: 배터리 화재 및 백업 시스템 부재


배터리 발화 원인의 모순: 현재 화재 원인으로 전원을 내린 지 40분 후에 배터리 하나에서

내부열이 가열되어 불이 붙었다는 설명이 나오고 있습니다.


• 소방 전문가에 따르면, 휴대폰 배터리와는 다른 특수 배터리의 경우,

폭발이나 과열은 가동 중이거나 충전 중일 때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전원을 끄고 40분이 지났다면 배터리의 열이 이미 식었어야 하는데,

내부열이 식은 상태에서 폭발했다는 설명은 기술적으로나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는 지적입니다.


백업 시스템의 부재: 가장 중요한 문제로 지적되는 것은 국가 시스템의

백업 시스템(Backup System)이 되어 있지 않다는 사실입니다.


• 개인 컴퓨터조차 백업 시스템을 사용하는 시대에, 우리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전산 시스템에 백업 시스템이 없다는 것은 말이 안 됩니다.


• 3년 전 카카오 뱅크 화재 당시에도 백업 부재로 인해 문제가 되었고,

이후 금융 시스템이나 회사들은 백업 시스템을 갖추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국가 전산 시스템은 백업이 안 되어 있다는 점이 이상하다는 것입니다.




3. 국가 안보 및 시스템 취약성 노출


중국인 무비자 입국 문제: 화재 발생 시점이 미묘한데, 9월 29일부터

중국인 관광객 무비자 입국이 시행될 예정입니다.


• 현재 전산 시스템이 다운되어 입국 심사가 수기로 이루어지게 되면,

신분 위조 가능성이 커지며, 불순자, 범죄자, 테러 행위를 하려는 사람들이 걸러지지 않고 유입될 위험이 있습니다.


• 전산 시스템 복구에 2주가 걸린다고 예상되므로, 최소한 시스템이 복구될 때까지

중국인 무비자 입국을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입니다.


킬 스위치 및 EMP 공격 취약성: 이번 사태로 한국 시스템의 위험한 현황이 노출되었습니다.


• 킬 스위치(Kill Switch):

우리나라 시스템에 사용되는 화웨이 장비 등에 외부에서 데이터 작동을 멈추거나 데이터를 유출할 수 있는

'킬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대한 대비가 되어 있는지 의문이 제기됩니다.


• EMP 공격 취약성:

군사 전문가들은 EMP(전자기 펄스) 공격이 전자 장비를 마비시킨다고 지적합니다.

화재로 인해 복구에 2주가 걸리는데, 만약 북한이 EMP를 사용한다면 복구에 두 달이 걸릴 수 있으며,

그 기간 동안 나라는 끝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 이번 사건은 한국이 국가 자동 정보 백업 시스템이 안 되어 있다는 것을 북한이나 중국에 노출하여,

이들이 추가 공격(예: EMP)의 유혹을 받을 수 있게 만들었다고 평가됩니다.



제보자는 단순히 감이나 음모론이 아니라 구체적인 수상한 점들을 근거로 들며,

정부 당국에 CCTV 분석, 외부 공격 여부 조사,

그리고 백업 시스템의 조속한 구축(소 잃고 외양간이라도 고치도록)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한미일보 유튜브 게시판


링크 : https://www.youtube.com/post/UgkxWc5RSTnEfVz3nYaoFapXr7qEkTz88frk



전체 댓글 0 기본순 최신순 공감순
    • 번호
    • 구분
    • 제목
    • 작성
    • 읽음
    • 추천
    • 등록
    • 331
    • 소식
    • 대한민국에서 태극기를 못든다..라... 4
    • 100
    • 12
    • 10-15 13:09
    • 321
    • 소식
    • 파기자판 했어야지요! - 신동욱 의원  
    • 89
    • 3
    • 10-13 13:27
    • 317
    • 소식
    • 미국, 한반도 전략 재정비 본격 착수 by Jean Cummings  
    • 135
    • 3
    • 10-12 14:30
    • 313
    • 소식
    • 🚨일베 was happening, 특검수사후 공무원이 사망한 이유 -고논  
    • 99
    • 3
    • 10-11 11:03
    • 309
    • 소식
    • 매우 심각한 대한민국  
    • 55
    • 1
    • 10-10 12:16
    • 308
    • 소식
    • 한국 실종사건의 끝자락엔 항상 ‘이 나라’가 있다 -효잉  
    • 115
    • 4
    • 10-10 11:45
    • 307
    • 소식
    • 종로에 땅굴발견 2
    • 88
    • 5
    • 10-10 03:02
    • 304
    • 소식
    • 원산지 인증제 폐지 -고논, 관련 법안 반대 11,000돌파  
    • 131
    • 4
    • 10-08 19:12
    • 303
    • 소식
    • china lee 30년 애착인형 애지중지현지가 누굴까? -고논 1
    • 169
    • 8
    • 10-08 13:33
    • 302
    • 소식
    • 일본 총리 바뀌자마자 관세 인하! - 뉴스피드 1
    • 122
    • 7
    • 10-07 19:28
    • 287
    • 소식
    • 중국의 장기밀매조직 국내 잠입 가능성은? - 이영돈TV  
    • 239
    • 10
    • 10-03 11:11
    • 281
    • 소식
    • 군대, 아웃소싱 ??.. 1
    • 67
    • 2
    • 10-02 07:58
    • 278
    • 소식
    • 분노 폭발한 언론단체들... 민주당 방송 독재 맞서 '결사항전' -일요서울TV  
    • 116
    • 4
    • 10-01 15:06
    • 276
    • 소식
    • 개인의 자유와 통제의 변화: CBDC, 디지털 신분증, 15분 도시 -효잉  
    • 208
    • 9
    • 09-30 21:45
    • 274
    • 소식
    • 검찰 개혁 모순(矛盾), 특검 검사 탈주중 -고논  
    • 107
    • 1
    • 09-30 08:45
    • 소식
    • 중국인들 무비자 결국 시행 --눈팅귀팅, 성창경TV, 이봉규TV  
    • 268
    • 4
    • 09-29 12:21
    • 263
    • 소식
    • 퍼옴)카이스트 학생징계 항의 전화 해주십시오  
    • 150
    • 6
    • 09-26 14:53
    • 258
    • 소식
    • 심상치 않은 맘카페 근황, 납치 사건들 -고논  
    • 233
    • 9
    • 09-24 17:09
    • 254
    • 소식
    • 미주한인포럼 2025 1
    • 167
    • 5
    • 09-21 20:12
    • 252
    • 소식
    • 이재명 100일, 나라가 망가지고 있다. - 이영돈TV  
    • 173
    • 6
    • 09-21 09:09

      오늘 마감 예정 법안 9 건 !! Freedom Is Not Free

     21697명의 애국자가 가입하여 활동중입니다.

    33건의 주요 청원이 진행중입니다. [청원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