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새로운 소식/카더라 등의 내용을 공유해주세요.
검증된 중요 뉴스는 타임라인 메뉴에 등록됩니다.
뉴스/새로운 소식/카더라 등의 내용을 공유해주세요.
검증된 중요 뉴스는 타임라인 메뉴에 등록됩니다.
조회수 63 추천 1 댓글 0
https://www.google.com/amp/s/www.chosun.com/national/national_general/2025/10/10/QAHEJKUMEVFUVNZ6CD7MXLMZJQ/%3foutputType=amp
20대 대학생 고문당해 사망하기도… 올해만 330건, '캄보디아 한국인 납치' 주의보
입력 2025.10.10. 09:05
수정 2025.10.10. 11:03
https://www.google.com/amp/s/www.mt.co.kr/amp/society/2025/10/07/2025100714371029277
'캄보디아서 실종' 40대 한국인, 병원서 찾았지만 '혼수 상태'…무슨일?
2025.10.07 14:44
캄보디아로 여행을 갔다가 실종된 40대 한국인 남성이 혼수상태로 발견된 것으로 전해졌다.
7일 전주MBC에 따르면 실종자 가족들은 주캄보디아 대사관으로부터 42살 이모씨가 혼수상태로 캄보디아 프놈펜 코사막 병원 중환자실에 있다는 연락을 받았다.
급히 현지로 향하고 있는 가족들은 환자의 상태를 확인한 뒤 가능하다면 한국으로 귀국해 치료를 이어가기를 희망한다며, 현지 대사관과 정부의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전주에서 직장을 다니던 이씨는 지난달 24일부터 5박 6일 일정으로 캄보디아 프놈펜으로 여행을 떠났다가 출국 사흘 뒤부터 갑자기 가족과 연락이 끊겼다.
마지막 GPS 기록은 프놈펜의 한 호텔이었으나, 가족이 현지 가이드를 통해 확인한 결과 해당 호텔에는 이씨가 투숙한 사실이 없던 것으로 전해졌다. 국내 경찰은 외교부, 현지 치안당국과 공조해 실종 경위 등을 조사 중이다.
한편 외교부에 따르면 2022년 1건에 불과했던 캄보디아 취업 사기·감금 피해 신고 건수가 2023년 17건, 2024년에는 220건으로 증가했다. 올해는 7월까지 252건의 관련 신고가 접수됐다.
외교부는 최근 캄보디아 스캠센터에서 우리 국민 취업사기·감금 피해가 계속 늘어남에 따라 지난달 16일 오후 5시부로 캄보디아 내 일부 지역에 대해 여행경보 2단계(여행자제) 및 특별여행주의보를 발령했다.
이번 여행경보 상향은 취업사기·감금 피해가 주로 발생해온 수도 프놈펜 및 시하누크빌주, 캄폿주 보코산 지역과 캄보디아-베트남 국경 지역에 위치한 바벳시가 대상이다. 프놈펜시에는 2단계(여행 자제), 시하누크빌주와 캄폿주 보코산 지역, 바벳시에는 특별여행주의보를 각각 발령했다.
외교부는 "특별여행주의보가 발령되는 지역을 방문할 예정인 국민들은 방문을 취소·연기해 주기 바란다. 동 지역에 체류 중인 국민들은 안전한 지역으로 이동해 주기를 바란다"며 "캄보디아 내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여행경보 추가 조정 필요성 등을 지속 검토해 나갈 예정"이라고 했다.
https://www.news1.kr/local/daegu-gyeongbuk/5936186#_enliple
캄보디아서 납치·고문 숨진 청년은 예천 출신…두달째 시신 방치
업데이트 2025.10.09 오후 02:16
여행 2주 만에 싸늘한 주검…경찰 "현지 경찰과 공조 수사"
가족 "얼마나 고통스러웠을지…죽어서도 집에 못 와" 눈물
경북 예천군 출신의 대학생 A 씨(22)가 가족들에게 "여름방학 기간 캄보디아에서 열리는 박람회에 다녀오겠다"며 집을 떠난 지 2주 만에 싸늘한 주검으로 발견된 사실이 알려졌다.
9일 경찰과 유족 등에 따르면 A 씨는 지난 7월17일 캄보디아에 도착했으며, 1주일 후 그의 휴대전화로 조선족 말투의 남성이 A 씨 가족에게 전화해 "A 씨가 이곳에서 사고를 쳐 감금됐다. 5000만원을 보내주면 풀어주겠다"고 했다.
A 씨 가족은 이 사실을 캄보디아 대사관과 경찰에 신고했다.
경찰은 "돈을 보내면 안 된다"고 했으며, 대사관은 "캄보디아 현지 경찰에 위치와 사진 등을 보내 신고하라"고 했다.
그러나 한국에 있는 가족들은 A 씨가 어디에 감금돼 있는지 알 수 없었고, 협박범과의 연락은 나흘 만에 두절됐다.
2주일 후인 지난 8월8일 A 씨는 현지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A 씨는 캄보디아 캄폿주의 보코산 범죄단지 인근에 감금돼 있던 것으로 알려졌다.
대사관과 현지 경찰에 따르면 A 씨의 사망 원인은 '고문과 극심한 통증으로 인한 심장마비'로 밝혀졌다.
A 씨의 사망 사실이 확인됐지만 시신이 2개월 동안 한국으로 오지 못한 채 방치돼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 등에 따르면 A 씨의 시신은 부검과 현지의 화장 일정 등을 고려해 이달 중 국내로 들어올 예정이다.
A 씨의 아버지는 "사망진단서에 고문으로 인한 심장마비라고 적혀 있는데 얼마나 고통스러웠을지 너무 괴로워 잠을 잘 수 없다"며 "죽어서도 집에 돌아오지 못하고 캄보디아 냉동고에 방치돼 있다. 사람을 두번 죽이는 것"이라고 울분을 토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캄보디아 경찰에 신속한 수사를 요청했으며, 구체적인 사건 내용을 알려줄 수 없다"고 말했다.
경찰은 "현지 경찰과 공조해 A 씨의 출입국 경위와 해당 범죄조직을 수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캄보디아에서 한국인 납치 신고 건수는 2022~2023년 연간 10~20건 수준에서 지난해 220건, 올해 8월까지 330건으로 급증했다.
https://www.y-c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3201
예천군 용문면 60대 남성, 자택서 흉통 호소 후 쓰러져 심정지 상태로 병원 이송
입력 2025.10.09 09:05
수정 2025.10.09 15:18
https://www.google.com/amp/s/www.khan.co.kr/article/202509181333001/amp
“고준위 방폐물 시행령, 주민 의견 무시”···전국 원전동맹, ‘즉각 폐기·재논의’ 촉구
2025.09.18 13:33
https://www.google.com/amp/s/m.mk.co.kr/amp/11243233
핵 폐기물 처리, 더는 못 미룬다…고준위 방폐장 드디어 짓는다
입력 : 2025-02-17 19:21:27
원전 설계수명 기한 도래해도
계속 가동할 수 있도록 제도 보완
https://www.pn.or.kr/news/articleView.html?idxno=31725
경북, 원전 13기에 방폐장까지?...고준위특별법 통과에 주민들 "불안"
입력 2025.03.05 17:26
수정 2025.03.06 16:51
https://www.y-c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520#:~:text=%22%EC%98%88%EC%B2%9C%20%EC%82%B0%EC%97%85%ED%8F%90%EA%B8%B0%EB%AC%BC%20%EB%A7%A4%EB%A6%BD%EC%9E%A5%20%EC%8B%9C%EC%84%A4%2C%20%EA%B2%B0%EC%82%AC%20%EB%B0%98%EB%8C%80%ED%95%9C%EB%8B%A4.%22%EB%B3%B4%EB%AC%B8%EB%A9%B4%20%EC%B2%B4%EC%9C%A1%ED%9A%8C%EC%9E%A5%2C,%EC%82%B0%EC%97%85%ED%8F%90%EA%B8%B0%EB%AC%BC%20%EB%A7%A4%EB%A6%BD%EC%9E%A5%20%EC%84%A4%EC%B9%98%EB%A5%BC%20%EC%9C%84%ED%95%9C%20%EB%B6%80%EC%A7%80%20%ED%99%95%EB%B3%B4%EB%A5%BC%20%EC%9C%84%ED%95%B4
예천 산업폐기물 매립장 '결사 반대'
입력 2021.01.30 02:19
수정 2021.02.02 11:01
보문면 주민 반대 대책위(위원장 김창배) 구성 활동
농축산물, 지하수·대기 오염, 건강 악화 우려 주장
"예천 산업폐기물 매립장 시설, 결사 반대한다."
보문면 체육회장, 이장협의회장 등 주민(단체장) 40여 명이 지난 26일 오전 10시 보문면복지회관 마당에 모여 '예천 산업폐기물 매립장 반대 대책위' 발대식 및 집회를 열었다.
대책위에 따르면 '한맥C.C&노블리아'에서 산업폐기물 매립장 설치를 위한 부지 확보를 위해 지난해 봄부터 승본리·간방리 문고개 일대 땅 주인들을 개별적으로 만나고 있다는 것.
실제 '한맥C.C&노블리아' 측이 최근 지질검사를 준비하는 등 강행 의지를 보이자 주민들은 이를 저지하기 위해 대책위를 꾸리며 맞서고 있다.
승본리 주민 여모씨는 "산업폐기물 매립장이 들어서면 농축산물은 물론 지하수 및 대기 오염, 주민 건강 악화 등 걷잡을 수 없는 피해가 발생할 게 불 보듯 뻔하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21일 오전 주민 20여 명은 보문면복지회관 2층 회의실에서 산업폐기물 부지 매입 반대 긴급회의를 갖고 보문면민들에게 산업폐기물 매립 위험성을 적극 알리기로 뜻을 모았다. 이와 함께 반대 서명, 현수막 설치, 서한문 발송, 민원 접수 등 건립 저지를 위한 반대 활동을 적극 펼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날 오후에는 '한맥C.C&노블리아' 측 대표와 면담을 통해 매립장 타 지역 설치, 사업 중지와 결사 반대 의사 등을 전했으나 타협점을 찾지는 못했다.
대책위 김창배(승본리 이장) 위원장은 "환경과 건강에 치명적일 수밖에 없는 전국의 산업폐기물이 20~-30년 동안 보문면에 묻힌다는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고 했다.
그는 이어 "한맥이 운영 중인 다른 지역 매립장에서 공해, 지하수 오염 등 여러 가지 문제로 법적 분쟁까지 일으킨 것으로 안다"며 "주민 모두 이 같은 사실을 똑똑히 알고 어떠한 일이 있더라도 시설 설치를 반드시 막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지난 21일과 26일에는 강영구 부의장, 조동인 군의원이 참석해 주민 반대 의견을 수렴하기도 했다.
https://m.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59336
미제사건 충격의 그날 이후 - [2] 전북대 여대생 이윤희씨 실종 7년
13.07.08 09:26
https://www.sciencetimes.co.kr/nscvrg/view/menu/253?searchCategory=225&nscvrgSn=111545
2013-01-21
플루토늄 추출 우려없는 핵폐기물 재처리 공정 개발
https://www.google.com/amp/s/www.jjan.kr/articleAmp/20030425090378
방사성폐기물시설 심포지엄 내용
2003-04-26
양성자가속기사업와 연계된 방사성폐기물시설의 고창 유치 가능성에 도민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으나 막상 그 안전성에 대한 학술심포지엄도 심포지엄 자체의 순수성에 의심을 받으며 파행으로 치닫았다.
방사성 폐기물시설의 고창유치를 은근히 바라는 전북도나 안전성에 큰 문제가 없다는 소신을 갖고 있는 전문가 등에게 방사성폐기물 시설의 실제 지역 유치가 쉽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전북대 첨단방사선응용센터 주최로 25일 전북대 자동차산학협동관에서 열린 방사성폐기물시설 관련 심포지엄은 전국 4개 후보지에 포함된 고창지역의 유치 가능성을 학술적 측면서 처음 접근해보는 시도여서 관심을 모았다.
강현욱도지사와 두재균전북대총장이 심포지엄에 참석하고, 장인순한국원자력연구소장이 축사를 하는 등 높은 관심과 기대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날 심포지엄은 고창지역 반대 주민들의 대회장 진입으로 '행사'를 끝내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전북대 두총장은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면 고창군민들과 함께 반대 투쟁에 앞서겠으며, 안전성이 확보된다면 획기적 지역발전을 할 수 있어 유치에 앞장서겠다는 원론적 입장만 밝혔다. 강현욱도지사도 심포지엄 중간에 참가한 뒤 5분여만에 자리를 떴다.
심포지엄 발제를 맡은 송명재박사(원자력환경기술원 연구개발실장)과 양오봉교수(전북대 첨단방사선응용연구센터장)는 외국의 사례나 과학적 측면서 방사성폐기물시설이 안전하다고 역설했다. 양교수는 특히 후보지인 고창군 광승리 일대 지질의 경우 지질학회와 자원연구소 의견을 토대로 매우 적합하다고 주장했다.
지질면에서 화강암과 편마암이 넓게 분포되는 등 안정된 지반을 이루고, 폐기물 처리방식인 천층처분이나 동굴처분 모두 가능하다는 지질전문가들의 종합의견도 제시했다. 전세계 30여개국 70여개 국가에 설치된 방사성폐기물시설이 있는 외국에서 40년 역사상 정규 처분시설에서 사고가 없었던 점, 몇 중의 안전장치 등을 들어 안전하다는 결론을 냈다. 그는 특히 '전북인으로서 의사록이나 비석에 자신이 찬성했다는 사실을 확실히 남기겠다'는 말로 강한 소신을 드러냈다.
심포지엄이 진행되는 동안 고창지역 반대 입장의 주민들도 반대 논리를 제시했다. 한 주민은 폐기물 시설이 들어선 일본의 한 지역을 직접 찾아본 결과 농협이 없어졌다며 폐해를 주장했다.
정부가 3천억원 이상 투자한다고 하지만 고창지역의 농산물에 대한 전국적 이미지가 크게 실추됨으로써 지역농업이 붕괴될 우려가 있는 등 지역발전에 도움이 안된다는 논리로 맞섰다. 그렇게 좋은 시설이면 심포지엄장인 전북대나 도지사 고향인 군산에 건립하라고 감정적인 말도 쏟아냈다.
https://www.google.com/amp/s/m.hankookilbo.com/News/Read/Amp/200307140047935844
전북대, 부안에 제2캠퍼스 추진
입력2003.07.14 00:00
https://www.google.com/am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3/09/09/2003090970234.html%3foutputType=amp
[부안사태] 두달간 매일 시위…정부 조정능력 의심
군수 폭행사태 부른 '핵폐기장 건설'
입력 2003.09.09. 17:10
수정 2020.08.20. 09:04
https://www.hani.co.kr/arti/area/area_general/119011.html#ace04ou
전북대 민노학위 총학생회 제소
수정 2019-10-20 17:20